len() 함수로 데이터 크기 측정하기: 기본 사용법부터 다양한 활용까지
데이터 처리를 할 때, 그 크기를 알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 파이썬에서는 len()
이라는 강력한 내장 함수로 이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이 포스트에서는 len()
함수의 다양한 활용법을 실제 코드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len() 함수의 기본 메커니즘
len()
함수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,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 다양한 객체의 '길이'를 반환합니다. 길이는 객체가 담고 있는 원소의 수를 의미합니다.
장점
- 범용성: 다양한 데이터 타입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간결성: 한 줄의 코드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.
- 성능: 내부적으로 최적화되어 빠른 연산 속도를 보입니다.
예시
예시 1: 문자열 길이 측정
text = "Hello, World!"
length = len(text)
print(length) # 출력: 13
예시 2: for문으로 리스트 길이 측정
my_list = [1, 2, 3, 4]
length = 0
for item in my_list:
length += 1
print(length) # 출력: 4
예시 3: 함수로 리스트 길이 측정
def get_length(lst):
return len(lst)
my_list = [1, 2, 3, 4]
length = get_length(my_list)
print(length) # 출력: 4
앞으로 어디에 자주 쓸 수 있는지
len()
함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 분석: 배열이나 리스트의 크기를 알아야 할 때
- 웹 개발: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의 길이를 검증할 때
- 자동화: 특정 작업을 반복해야 할 횟수를 계산할 때
자세한 내용은 파이썬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: Python Official Documentation: len()